1. 1883 딜타이 『정신과학 입문』
- 자연과학 대 정신과학 : 설명과 이해의 축
2. 1898 리케르트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 문화과학 대 자연과학 : 일반화적 몰가치적 관심 대 개성중심적인 가치연관적 관심의 축
빈델반트의 법칙정립적 nomothetic 대 개성기술적 idiographic 구분은 빈델반트 자신이 역사와 자연과학에 교차적으로 적용가능하다고 이해한 방법상의 유형학에 지나지 않는다.
오늘날 사회과학의 orthodox 콘센서스는 (기든스의 표현) 산업사회론의 naturalistic framework에서 나온다.
- 자연과학 대 정신과학 : 설명과 이해의 축
2. 1898 리케르트 『문화과학과 자연과학』
- 문화과학 대 자연과학 : 일반화적 몰가치적 관심 대 개성중심적인 가치연관적 관심의 축
빈델반트의 법칙정립적 nomothetic 대 개성기술적 idiographic 구분은 빈델반트 자신이 역사와 자연과학에 교차적으로 적용가능하다고 이해한 방법상의 유형학에 지나지 않는다.
오늘날 사회과학의 orthodox 콘센서스는 (기든스의 표현) 산업사회론의 naturalistic framework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