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3 존재론,방법론, 심리학주의 방법론논쟁과 존재론은 중요하다. 그것은 단일한 세계를 변형하는 과학이 심리학주의, 물리학주의,구조주의 중 어디서 시작하느냐에 얽혀 있다. 즉, 문제는 전략론이냐 시스템론이냐이다.이를 위해선 존재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2007. 3. 24. 『구조와 행위』주석 『구조와 행위』주석 용어 등은 원저와 별개의 표현. 원문 : 김용학,『사회구조와 행위』(나남,2003) 저자 홈페이지 : http://www.yhakim.net/ * 사회이론의 분류틀 : 구조-행위의 축과 객관-주관축의 종합 (Ritzer 와 Alexander의 종합) * 구조주의,기능주의 : 사회 실재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등 뒤에서 작용하는 실재들의 힘으로 사회현상을 설명함.구조법칙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활동. ex) 마르크시즘, 프랑스 구조주의, 기능주의 행위론 : 실재론을 부정하고 사회현상을 인간의 의도, 합리성의 결과로 설명함. 심리학환원주의가 바탕이 됨.ex) 합리적 선택이론 Crozier and Friedberg 는 이를 전략적 접근와 체계적 접근의 양립으로 진단함. 이 대립으로부터 어떻게 .. 2007. 3. 24. 구조와 행위 열기 구조와 행위를 열며 * 구조-행위, 미시-거시는 존재론을 낀 방법론 논쟁이다. 왜 이 이분법이 허용되어야 하는지부터가 뭔가 의심스럽다. 그 부분을 밝혀내야 한다.(의미) * 행위론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위주로 사회적 존재들을 분석한다. 이에는 베버의 길과 심리주의의 길이 있다. 신고전경제학과 로쟌학파의 경제학은 수학의 화려한 외관에 쌓여 있지만 본질은 심리주의이다. * 거래비용경제학은 행위론에 입각하지 않는다. 조직은 거래비용의 함수로서 출현하거나 시장으로 해체된다. * 미시경제학적 도구로는 산업을 정의하기 힘들다. 가령 탄력성으로 산업을 분류하는 시도 등. 산업이 뭔지는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새로운 변종 기업들이 생기면 나서는 단체들이 있다. 여기에는 구조론이 적합하다. * 이미 주어져 있는 조직이나.. 2007. 3.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