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22 칸트평전을 읽다가 공동세계와 상호주관성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07. 3. 31. 존재론,방법론, 심리학주의 방법론논쟁과 존재론은 중요하다. 그것은 단일한 세계를 변형하는 과학이 심리학주의, 물리학주의,구조주의 중 어디서 시작하느냐에 얽혀 있다. 즉, 문제는 전략론이냐 시스템론이냐이다.이를 위해선 존재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2007. 3. 24. 존재자와 존재 하이데거 따라하기 존재론은 개념론이거나 실재론이다. 이것은 가령 '사회'가 존재하는 실체이냐 아니면 단지 많은 사람들의 집합을 일컫는 개념이냐하는 질문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 각 분야별 존재론을 일반적으로 아우르는 것, 즉 모든 존재자에 대한 존재여부를 정리하는 것이 철학적 존재론이다. 후설은 이를 영역별로 분산시키고자 한다. 하이데거가 의문시한 것도 도대체 이게 대학조직에 관한 기획인지 뭔지에 관한 것이었다. 하이데거는 존재자의 존재를 묻는 존재론의 기존의 입장에 딴지를 건다. 가령 '사회'가 존재하느냐를 묻는데, 과연 '사회가 존재한다.','아니다 거기 속한 사람만이 존재한다.'라고 할 때의'존재'란 무엇인가? 그런데 이 질문에 답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존재' 자체가 정의되어야 하는.. 2007. 3. 24. 후설 패러독스 ' 현상학의 규정이 갖는 뜻은 실은 '사태 자체로'Zu den Sachen selbst 라고 정식화된 준칙이 갖는 뜻과 다른 것이 아니다. 이 말은 무슨 뜻인가. 이것은 다음과 같은 뜻이다. 즉 이 말은 현상학이 '모든 허공에 뜬 구성,우연한 발견','외견상 증시된 듯이 보이는 데 불과한 개념의 답습','종종 몇 세대를 통해 문제로서 과시되는 거짓 물음' 등에 반대하여, 오직 '사태 그 자체'를 근거로 한다는 것이다. … 따라서 현상학은 단순한 우연성, 임의성을 배격하고, 현상의 자기현시에 따른 그 어떤 문제성 내지 필연성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고, 오직 그것에만 관계하는 것이다. 단 이러한 태도는 사실상 너무나도 자명한 것으로 '모든 학적 인식의 원리'를 언표한 것에 불과하다. … 현상학은 따라서 전승된.. 2007. 3. 24.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