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석3

『구조와 행위』주석 『구조와 행위』주석 용어 등은 원저와 별개의 표현. 원문 : 김용학,『사회구조와 행위』(나남,2003) 저자 홈페이지 : http://www.yhakim.net/ * 사회이론의 분류틀 : 구조-행위의 축과 객관-주관축의 종합 (Ritzer 와 Alexander의 종합) * 구조주의,기능주의 : 사회 실재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등 뒤에서 작용하는 실재들의 힘으로 사회현상을 설명함.구조법칙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활동. ex) 마르크시즘, 프랑스 구조주의, 기능주의 행위론 : 실재론을 부정하고 사회현상을 인간의 의도, 합리성의 결과로 설명함. 심리학환원주의가 바탕이 됨.ex) 합리적 선택이론 Crozier and Friedberg 는 이를 전략적 접근와 체계적 접근의 양립으로 진단함. 이 대립으로부터 어떻게 .. 2007. 3. 24.
리케르트 『문화과학과 자연과학』(책세상, 2004) 주석 하인리히 리케르트(1926, 6.7판)/이상엽 역, 『문화과학과 자연과학』(책세상, 2004) 38쪽 '가장 보편적이고 기초적인 개념과 관련되는 한, 자연 연구자는 조상이 모아놓은 자본의 이자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제는 정신적 재산의 유래라든가 정신적 재산이 탄생하게 된 맥락을 더 이상 염두에 둘 필요가 없을 정도로 조상의 재산은 모두 당연한 것이 되었다. 애써 노력하지 않아도 정신적 재산을 소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자연과학은 무엇보다 자연 전체의 인식이라는 하나의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 부문은 각각 자기 몫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목표는 자연과학에 통일성과 연관성을 주고 있다.... 이와 비슷한 예가 문화과학에도 해다된다고 주장하려는 사.. 2007. 3. 20.
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에 관한 연구 주석 읽는 이유: 「논리연구」를 바탕으로 한 후설 연구서는 흔하지 않다. 스피겔버그가 브렌타노에서 후설의 「논리연구」에 이어지는 설명을 자세히 해 놓은 편이다. 본 논문은 「논리연구」를 바탕으로 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을 설명하고 있다.즉 「논리연구」를 간접적으로 읽어볼 수 있다. 결국 1.논리인식테제와 2. 상대주의 논변이 심리주의를 논파하는 주된 간접 증명이다. 1. 논리인식테제 : 아주 어려운 논리적 문제는 필연적으로 그 누군가에 의해서 풀어질 수 있다. 즉, 인류가 하나도 남김없이 다 멸종될지라도 이 문제는 가능적으로 풀릴 수 있다는 명제는 참이다. 이 경우 논리적 명제는 경험적이지 않다. 2. 상대주의 논변 : 심리주의는 논리법칙의 우연성, 현실성을 강조하므로 어떤 논리적 명제는 필연적이다. -- .. 2007.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