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을 읽을 때의 답답함을 리케르트가 풀어주었다. 선과학적인 태도와 자연적 태도 사이에 현상학적 작업이 들어가는데 후설에 의하면 이는 형상적인 부분이다.하지만 리케르트에 의하면 여기는 이념적인 부분이다. 현실은 이질적이고 연속적이다. 비합리적인 현실을 합리적으로 조작하는 폭력이 과학이다.
이소 케른은 도서관에서 빌려봐야겠다.
머리말
제 1 부 칸트와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의 태도에 관한 역사적 개관
제1장 학창시절부터「논리연구」(1900/01)에 이르기까지
제2장 초월론적 현상학으로의 돌파(「논리연구」에서「이념들」로)
제3장 발생적 현상학기
제 2 부 칸트와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의 태도에 관한 체계적 서술
제1편 칸트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의 칸트 비판
칸트의 논리학 이념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과 칸트에서 이성 비판
후설과 초월론적 주관성으로의 칸트의 회귀
후설과 "자연을 조형하는 주관성"에 관한 칸트의 이론
후설과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
철학사에서 칸트의 위치
제2편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과 태도
파울 나토르프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과 나토르프의 반-심리학주의
나토르프의 심리학에 대한 후설의 태도
하인리히 리케르트에 대한 후설의 태도
리케르트의 인식론에 대한 후설의 비판
리케르트의 방법론에 대한 후설의 비판
결론
부록Ⅰ:칸트에 관한 후설의 강의와 연습 목록
부록Ⅱ:칸트와 신칸트학파의 문헌에 대한 후설의 연구
부록 Ⅰ : 칸트에 대한 후설의 강의와 연습 목록
부록 Ⅱ : 칸트와 신칸트학파의 문헌에 대한 후설의 연구
이소 케른은 도서관에서 빌려봐야겠다.
머리말
제 1 부 칸트와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의 태도에 관한 역사적 개관
제1장 학창시절부터「논리연구」(1900/01)에 이르기까지
제2장 초월론적 현상학으로의 돌파(「논리연구」에서「이념들」로)
제3장 발생적 현상학기
제 2 부 칸트와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의 태도에 관한 체계적 서술
제1편 칸트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의 칸트 비판
칸트의 논리학 이념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과 칸트에서 이성 비판
후설과 초월론적 주관성으로의 칸트의 회귀
후설과 "자연을 조형하는 주관성"에 관한 칸트의 이론
후설과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
철학사에서 칸트의 위치
제2편 신칸트주의에 대한 후설과 태도
파울 나토르프에 대한 후설의 태도
후설과 나토르프의 반-심리학주의
나토르프의 심리학에 대한 후설의 태도
하인리히 리케르트에 대한 후설의 태도
리케르트의 인식론에 대한 후설의 비판
리케르트의 방법론에 대한 후설의 비판
결론
부록Ⅰ:칸트에 관한 후설의 강의와 연습 목록
부록Ⅱ:칸트와 신칸트학파의 문헌에 대한 후설의 연구
부록 Ⅰ : 칸트에 대한 후설의 강의와 연습 목록
부록 Ⅱ : 칸트와 신칸트학파의 문헌에 대한 후설의 연구